한 달 전 발표된 9·26 주택 공급대책의 효과가
수도권과 지방에서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시장은 여전히 불안한 양상을 보입니다.
수도권에서는 민간 분양 물량이 늘어나며
집값이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는 공공주택의 공급이 지연되는 우려가 여전합니다.
9·26 공급대책 발표 이후,
민간 분양 물량은 전년 대비 약 49% 늘어나며
시장에 안정감을 가져왔습니다.
공공택지 분양과 사전청약 또한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LH 사태 등으로 인한
공공주택 공급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습니다.
또한, 지방에서는 PF 사업장의 비율이 낮고
미분양 물량이 많아 공급대책의 영향이 미흡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부채 증가 속도를 우려하여,
수요를 자극하는 정책을 시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7%에서 또 오른다?
17일 부 주담대를 받을 사람들의 이자 부담이 증가합니다. 16일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2023년 9월 기준 코픽스(COFIX, 자금조달비용지수)는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3.82% 증가하여 전월 대비 +0.16%p 상승
how-to-get-wealth.tistory.com
수요 증가 대책을 빼고 공급만 확대하고 있어,
지방 아파트 시장의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향후 한국 기준금리도 상승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 수준에서 가계 부채가 늘어나면,
한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심각하게 금리 인상 고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한은 대상 국정감사에서 다수 의원이 가계부채 급증 대책을 묻자 아래와 같이 대답했습니다. "먼저 규제 정책을 다시 타이트하게 하고, 그럼
how-to-get-wealth.tistory.com
공급과 수요를 무작정 늘릴 수만은 없는 상황에서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통제하면서도
공급 완화 정책을 시행하여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 기사]
단기 분양 늘었지만…꽉 막힌 ‘공공’ㆍ미분양 ‘지방’ 불안 여전[9·26 공급대책 한 달]
주택 공급 물꼬를 트기 위한 9·26 공급대책 발표 한 달을 맞아 수도권과 지방의 희비가 엇갈린다.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은 민간 분양 물량 증가와 집
www.e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