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은행연합회 코픽스 현황 자료

 

 

17일 부 주담대를 받을 사람들의 이자 부담이 증가합니다.

16일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2023년 9월 기준 코픽스(COFIX, 자금조달비용지수)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3.82% 증가하여

전월 대비 +0.16%p 상승하였습니다.

 

 

코픽스는 변동형 주담대 금리 산정 기준이 되는 지수로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3달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

또한, 상승폭 자체도 올해 들어 가장 가팔랐습니다.

 

 

금리 자체도 3.82%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고금리 기조에서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이에 주담대와 신용대출의 이자도 덩달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시중은행들의 주담대 금리 올리기는

이미 9월 말부터 시작되어 매주 상승하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5대 은행 주택담보대출 2년만 최대폭

주요 시중은행의 월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2년 만에 최대치로 불어났습니다. 국민 / 신한 / 하나 / 우리 / 농협 은행의 9월 말 주담대 잔액은 517조 8,588억 원으로 전월 말 대비 2조 8,591억 원 늘었

how-to-get-wealth.tistory.com

 

 

고금리 상황에서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담대 잔액 및 신규취급액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해당 리스크를 헷지 하기 위해서라도

금융당국과 시중은행들은 대출 금리 상승을 통해

추가 대출 심리를 억제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 기준금리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 기준금리 보다 높을 경우

굳이 달러 대비 위험한 원화에 투자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원화 보다 달러를 원하게 될 것이고,

달러의 수요가 늘어남은 달러/원 환율이 상승한다는 뜻입니다.

 

 

현재 미국의 CPI는 23년 연초~연중과 비교해 보면

Fed의 의도대로 조금씩 잡혀가고 있는 추세긴 합니다.

 

 

반응형

 

 

다만, 러-우 전쟁 장기화 및 중동 사태 악화 등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국제유가 상승 리스크가 아직 남아 있습니다.

 

 

즉, 미국 기준 금리 방향성에 대해서

확언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여기서 만약 11월 FOMC 회의를 통해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한국은 기준금리를 동결할 수 있을까요?

 

 

만약 환율 등의 문제로 동결하지 못하고

한국 기준금리도 인상하게 된다면,

현재의 주담대 및 신용대출 금리는 더욱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과연...

한국 부동산 및 주식 시장이 견뎌줄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많이 되는 상황입니다.

 

 

[참고 기사]

 

“주담대 이미 7%인데 또 오른다고?”…치솟는 이유 대체 뭐길래

고금리 행진에 은행 조달금리 상승 변동형 주담대 기준 코픽스 0.16%↑ 17일 부터 신규 대출 이자부담 증가 17일부터 새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사람들의 이자 부담이 늘어난다. 16일 은행연합회가

n.news.naver.com

 

 

 

2030 소액생계비 대출 미납률 증가, 어릴수록 높아져

정책금융상품인 소액생계비대출이 인기를 끌지만, 특히 연령이 어릴수록 이자 미납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청년층의 채무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소액생계비

how-to-get-wealth.tistory.com

 

 

 

대출 금리도 예약이 가능하다? - 보험사 주택담보대출

미국의 금융 긴축과 채권 금리 상승 등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저렴한 금리로 대출을 받아두는 '금리 예약'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은행은 대출 '실행' 시점의 금리를

how-to-get-wealth.tistory.com

 

 

 

연 8.8% 적금 등장 - 예금금리 경쟁 본격화

제2 금융권에서도 예금금리 경쟁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시중은행 예금 금리가 최고 연 4.05%까지 오르자, 새마을금고와 신협 등 상호금융사에서는 연 5%대 예금 특판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how-to-get-wealth.tistory.com

 

 

 

금리 상승 & 경기 침체 : 기업 은행 대출 증가

금리 상승과 경기 침체로 기업들의 대출 증가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금융권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기업별 차별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기업별 차별화 정책으로 인해, 저신용 등

how-to-get-wealth.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